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를
- 간식금지다!
- classList toggle
- ROUTER 버전6
- 리엑트할수있는퍼블리셔라규
- resize
- 언젠간가겠지
- 포트폴리오
- 퍼블리싱
- 안짤렸다
- windowwidth
- react
- classList remove
- chart responsive
- react-router
- 방심은금물
- chart.js
- 클래스 토글
- 대표님물리기없기
- 내배위의고양이
- react-router-dom
- classList add
- 접근성
- 커스텀훅
- classList
- 2020
- className
- 냥빨이다가온다
Archives
- Today
- Total
틈
JSX 기본규칙 본문
1. 열린 태그는 반드시 닫아주어야 한다.
- self-closing 가능
- br이나 input 등 html5에서 닫힘을 사용하지 않는 태그도 닫아주어야 한다.
2. 2개 이상의 태그는 반드시 1개 이상의 태그로 감싸져야 한다.
- <></> 로 사용해도 가능(fragment)
function App(){
return (
<>
<Hello />
<div>안녕히계세요.</div>
</>
)
}
- ()는 의미가 없지만 가독성을 위해서 사용한다.
3. 중괄호({})로 감싸면 변수를 꺼낼 수 있다.
function App(){
const name = 'react';
return (
<>
<div></div>
<div>{name}</div>
</>
)
}
출력 : react
4. 인라인 스타일을 넣어줄 때에는 객체로 선언 후 추가한다.
function App() {
const name = 'react';
const style= {
backgroundColor : 'black',
color : 'aqua',
fontSize : 24,
padding : '1rem'
}
return (
<>
<Hello />
<div style={style}>{name}</div>
</>
);
}
5. 클래스는 className으로 추가한다.
6. 주석은 중괄호로 감싼다.
function App() {
return (
<>
{/* 어쩌고 저쩌고 */}
<Hello
//이런식으로 작성하는 주석은 화면에 보여지지 않습니다.
/>
<div></div>
</>
);
}
export default App;
'code > React.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 React 내의 배열 렌더링 하기 (0) | 2021.12.08 |
---|---|
[React] useRef (0) | 2021.12.05 |
[React] useState (0) | 2021.12.05 |
[React] props / props children (0) | 2021.12.05 |
React.js 시작 (0) | 2021.11.30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