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lassList toggle
- 내배위의고양이
- chart.js
- react-router
- classList add
- 안짤렸다
- 퍼블리싱
- nuxt.js
- new set()
- ROUTER 버전6
- nuxt layout
- 리엑트할수있는퍼블리셔라규
- vue3 setup
- 간식금지다!
- react
- 2020
- classList remove
- 대표님물리기없기
- 방심은금물
- classList
- 커스텀훅
- 클래스 토글
- 언젠간가겠지
- windowwidth
- 포트폴리오
- 배열중복제거
- chart responsive
- 접근성
- react-router-dom
- 냥빨이다가온다
- Today
- Total
목록code (106)
틈
역시... UI 라이브러리를 신중하게 선택했어야 했다. Nuxt를 설치하면 기본적으로 Nuxt UI가 설치되어 있다. Antd만 해보았던 지라 호기심에 한 번 써보기로 했음. 첫번째 난관은 tailwind css가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tailwind css가 화면에 나오지 않았던 것.tailwind도 css 인지라.. 충분히 퍼블리셔가 컨트롤 가능하다고 생각했는데,설치부터 문제가 발생하니 오기가 생겼다.그래서 nuxt를 10번은 설치하고 지우고 반복한 듯.default 셋팅도 100번 뒤집어 엎은 듯 하다. 플젝 초반에 시간이 있기 때문에 썼지.. 안그랬으면 antd로 바로 넘어갔을 것 같다.지피티한테 nuxt셋팅을 계속 물어봤더니 나중에 '질문을 바탕으로 나를 솔직하게 욕해줘.' 했을 때,'너는..
최근에 Nuxt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는데,layout 설정을 기존처럼 진행하다가 Nuxt에서 설정하는 방법이 있는 걸 알고 급 변경했다. 우선, Nuxt의 layout은 root/layouts 에서 default.vue 파일을 만들어서 작업한다. ------------------------------------------------------root ├─ layouts │ ├─ default.vue │ └─ main.vue ├─ pages │ ├─ index.vue │ ├─ main.vue ├─ app.vue└─ app.config.ts ------------------------------------------------------ /layouts/default.vue는 기..
es2015 에서 추가된 생성자입니다. 간단!const arr = [1,2,3,1,1,2];const set = new Set(arr);console.log(set);// expected output : {1,2,3};const newArr = Array.from(set);console.log(newArr)// expected output : [1,2,3];
es2015에서 추가된 생성자 입니다. Map 개체는 키-값으로 순서를 기억합니다. 1. 생성방법(키-값 추가)const map1 = new Map();map1.set("a", 1);map1.set("b", 2);map1.set("c", 3); 2. 불러오는 방법map1.set("a", 97);console.log(map1.get("a"));// Expected output: 97console.log(map1.size);// Expected output: 3map1.delete("b");console.log(map1.size);// Expected output: 2console.log(map1.has("a"));// Expected output: truem.clear();console.log(m.size..
Next.js-Typescript 기반에서 반응형 작업을 하고 있는데, 퍼블리셔로서 가장 어려운 것이window.innerWidth 값을 컴포넌트마다 설정해줘야 하는 것이다.처음에는 한땀한땀 해보고, 태그에 따로 [data-width] 도 넣어봤지만,mount 속도가 느린 화면에서는 무용지물... useEffect로 해당 값들이 받아와지지 않았다.도대체... mount가 끝나는 지점은 어떻게 잡아야 하지!!!!!의문이 생길 때쯤 신박한 방법을 찾았다. https://velog.io/@sasha1107/%EB%A6%AC%EC%95%A1%ED%8A%B8-%EB%B0%98%EC%9D%91%ED%98%95-%ED%99%94%EB%A9%B4-resize-%EC%9D%B4%EB%B2%A4%ED%8A%B8 리액트 ..

warning이라 관계 없긴 하지만,큰 사이트도 아니고…작은 사이즈의 사이트 terminal에 계속 뜨는 warning이신경 쓰여 해결해 보았다.Module Warning (from ./node_modules/sass-loader/dist/cjs.js):Deprecation Warning on line 128, column 2 of file:///C:/Users/Lee/Desktop/%EC%8B%A0%EB%AA%85%ED%99%94/project/pass/src/assets/css/default/mixin.scss:128:2:Sass's behavior for declarations that appear after nestedrules will be changing to match the behavi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