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 1 | 2 | 3 | 4 | |||
| 5 | 6 | 7 | 8 | 9 | 10 | 11 |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 26 | 27 | 28 | 29 | 30 | 31 |
- nuxt layout
- 클래스 토글
- 접근성
- ROUTER 버전6
- 2020
- classList remove
- 배열중복제거
- react-router-dom
- classList
- 간식금지다!
- 냥빨이다가온다
- 언젠간가겠지
- vue3 setup
- 퍼블리싱
- 커스텀훅
- 안짤렸다
- 방심은금물
- classList add
- 내배위의고양이
- 리엑트할수있는퍼블리셔라규
- chart.js
- windowwidth
- new set()
- react-router
- 포트폴리오
- react
- nuxt.js
- 대표님물리기없기
- classList toggle
- chart responsive
- Today
- Total
목록code (106)
틈
import React from "react"; /* 별도의 컴포넌트를 컴포넌트 내부에 만들어 준다 */ function User({ user }){ return ( {user.username} ({user.email}) ) } function UserList(){ const users = [ { id: 1, username: 'velopert', email: 'public.velopert@gmail.com' }, { id: 2, username: 'tester', email: 'tester@example.com' }, { id: 3, username: 'liz', email: 'liz@example.com' } ]; return ( {/* 컴포넌트 안에 내부에 미리 만들어 둔 컴포넌트를 추가한다. * ..
DOM을 직접적으로 선택해야 할 때 import React, { useState, useRef } from 'react'; function InputSample(){ const nameInput = useRef(); const onReset = () => { setInputs({ name:'', nickname : '', }) nameInput.current.focus(); } return ( 초기화 값 : {name} ({nickname}) ) } ref로 속성을 지정해 준 다음, {}.current.{} 작업한다.
동적인 변화 import React, { useState } from "react"; function Counter(){ /* useState ()안의 값은 초기값. * 비구조화 할당을 통해 number값과 setNumber(함수) 값을 추출한다 */ const [number, setNumber] = useState(0); const style = { padding:20 } const onIncrease = () => { setNumber(number+1); } const onDecrease = () => { setNumber(number-1); } return ( {number} {/* onclick을 camel형식으로 바꿔줘야 함. * 함수를 사용할 때 ()를 붙이 경우, mount 되는 시점에 실행..
부모 컴포넌트 function App() { const name = 'react'; return ( ); } 자식 컴포넌트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Hello({color, name}){ console.log(name); return 안녕하세요! {name}; } Hello.defaultProps = { name : '이름없음' } export default Hello; Vue.js를 먼저 배워두길 잘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Vue.js에서 선언하는 Props와는 다른 형식이지만, 이것이 왜 필요하고 무엇이 다른지 알 수 있었습니다. Vue.js에서는 컴포넌트 내부에서 안쪽에 {props:}로 정의하는 방식을 사용했는데, React에서는 함수의 매개변수를 이용한 전달..
1. 열린 태그는 반드시 닫아주어야 한다. - self-closing 가능 - br이나 input 등 html5에서 닫힘을 사용하지 않는 태그도 닫아주어야 한다. 2. 2개 이상의 태그는 반드시 1개 이상의 태그로 감싸져야 한다. - 로 사용해도 가능(fragment) function App(){ return ( 안녕히계세요. ) } - ()는 의미가 없지만 가독성을 위해서 사용한다. 3. 중괄호({})로 감싸면 변수를 꺼낼 수 있다. function App(){ const name = 'react'; return ( {name} ) } 출력 : react 4. 인라인 스타일을 넣어줄 때에는 객체로 선언 후 추가한다. function App() { const name = 'react'; const sty..